2021년도 전국 자살자 수는 1만,3,352명
보건복지부 등의 ‘2023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21년 전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6.0명으로 지난해 대비 0.3명(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전국의 자살자 수는 총 1만 3,352명으로 2020년도 1만3,195명보다 157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전 자살률 전국 4위
대전지역의 경우 자살자 수는 총 425명으로 나타났으며, 자살률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26.5명으로 강원, 충북, 충남에 이어서 4번째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년 대비 자살률 증감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도의 397명 대비 28명(7.8%)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288명, 여성은 137명으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40대 76명, 30대 72명, 20대 60명, 60대 57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대의 자살률이 전국 17개 시도 중에 가장 높은 28.5명으로 충남(30.4명)에 이어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자살률, OECE 국가 중 압도적 1위
2022년도에 분석·조사된 OECD 38개국의 최신 자살률 평균은 11.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6명으로 OECD 평균보다 2.2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 다음이 리투아니아(20.3명, 20년 기준), 슬로베니아(15.7명, 20년 기준), 벨기에와 에스토니아(15.2명, 벨기에-18년, 에스토니아-20년 기준), 라트비아(14.9명, 20년 기준), 헝가리(14.8명, 19년 기준), 일본(14.6명, 19년 기준), 핀란드(13.4명, 19년 기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 35개국 가운데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50대, 70~80대 이상에서 자살률 1위로 나타났으며, 10대가 4위, 60대가 2위로 조사되었습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자살률 두 배 이상 높아
전국의 자살자 가운데, 남성이 9,193명(68.9%)이었으며, 여성은 4,159명(31.1%)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두 배 이상 자살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소년 자살자 수 총 985명, 대전은 충남에 이어 전국 2위
청소년 자살자 수는 총 985명으로 전년대비 28명(2.9%)이 증가하였고, 자살률은 11.7명으로 전년 대비 0.6명(5.5%)이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대전지역 청소년 자살자수는 37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14.2명으로 충남(14.7명)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노인(65세 이상) 자살자 수 총 3,619명, 남성이 여성보다 3.1배 높아…
2021년 노인 자살자 수는 3,619명으로 전년 대비 227명(6.7%)이 증가했으며, 0.5명(1.2%)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살률의 경우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42.2명으로 OECD국가 중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노인 남자 자살률은 68.4명, 여자는 22.0명으로, 전체 자살사망자 중 남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70.5%, 여자는 29.5%로 나타났습니다. 노인의 남녀 간 자살률 성비는 남자가 여자보다 3.1배 높았으며, 이는 전체 연령의 성비(2.2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이한 점은 대전의 노인 자살률(37.3명)이 전국 17개 시도가운데 서울(36.5명)에 이어서 가장 낮았다는 점입니다.
대전의 청년 자살률 전국 1위로 가장 높아
청년(19~34세) 자살자수는 2,512명으로 전년 대비 154명(6.5%)이 증가하였으며,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4.2명으로 전년 대비 1.7명(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이점은 대전지역 청년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32.4명으로 전국 17개 시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자살수단으로 ‘목맴’, 자살동기로는 ‘정신적 문제’ 가장 많아
전국적으로 자살 수단으로는 ‘목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추락’, ‘가스중독’, ‘농약’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살동기로는 ‘정신적 문제’, ‘경제생활 문제’, ‘육체적 질병’, ‘가정문제’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남성의 경우, ‘경제생활 문제’가 자살동기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의 경우 ‘정신적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자살예방 대책 절실
특이점으로 2018~2019년 연속 증가 후 코로나19 장기화에도 2020년 자살률이 감소세로 전환되었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로 전문가들은 코로나로 인한 지역유대 강화 및 공동체가 자살을 방지한 효과로 진단했습니다.
따라서 자살예방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의지와 정책발굴 및 연계 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정부는 지난해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3~’27년)을 수립한바 있으며, 기본계획에는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자살률을 2027년까지 30% 감소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워 생명안전망 구축, 자살위험요인 감소, 사후관리 강화, 대상자 맞춤형 자살예방, 효율적 자살예방 추진기반 강화의 5대 추진전략과 15대 핵심과제, 92개 세부과제를 담고 있습니다.
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기본계획을 토대로 자살예방대책 수립 및 시행을 비롯, (가칭) 생명존중문화조성 및 자살예방에 관한 조례 제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울러, 유관기관 및 단체가 참여하는 (가칭) ‘지역별 자살대책협의체’를 구성하고, 기존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마을돌봄조직’과도 적극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장의 강력한 의지가 자살예방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관기관(경찰, 소방, 보건의료, 복지관, 상담기관 등)과의 공조체계를 강화하고, 자살 위험증후군에 대한 전문가 상담 및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조기발견 및 예방교육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