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렴교육3

지방자치단체(기초) 청렴도 평가결과 진단 및 개선방안 모색 1. 2024년도 기초지방자치단체 종합청렴도 평가결과 2024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하여 공공기관의 종합적인 청렴 수준을 측정하고, 각급 기관의 부패 취약 분야 개선 노력 지원 및 청렴 인식과 문화 확산을 목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총 평가 대상은 16개 유형, 716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기관, 공공의료기관, 지방의회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이가운데 지방자치단체(기초)는 총 226개 기관이 평가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세부평가는 지방자치단체의 종합적인 청렴 수준을 측정하고, 부패 취약 분야 개선 등 각급 기관의 반부패 노력을 촉진하며, 청렴 인식과 문화 확산을 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종합청렴도 평가체계는 청렴체감도, 청렴노.. 2025. 4. 12.
청렴교육 등 각종법정의무교육을 받아야하는 이유 1. ‘법정의무교육’이란? 법정 의무 교육은 공직자와 직장인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육으로,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주요 교육 내용은 청탁금지법, 성희롱 예방, 개인정보 보호, 장애인 인식 개선, 산업 안전 보건 등입니다. 이러한 교육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감을 강화하고, 건전한 직업윤리를 확립하는 데 기여합니다.  2. 청렴교육 등 각종 법정의무교육 - 기본교육 분야 / 각종 직무교육 외, 공직자행동강령, 갑질 및 괴롭힘 방지교육 등 - 반부패 분야 / 청탁금지법, 이해충돌방지법, 공익신고자보호법, 공공재정환수법, 부정수급 등 - 직장내 분야 / 직장내 성희롱예방교육, 개인정보보호법, 산업안전보건교육,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등  3. 법정의무교육을 받아야 하는 이유  법정의무.. 2025. 3. 24.
부패방지를 위한 우리사회의 역할 부정부패는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불평등, 빈곤, 경제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부정부패는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신뢰상실과 민주주의의 약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런점에서 더 큰 사회적비용을 부담하기 전에 부정부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범 사회적인 노력이 지속적되어야 한다. 부정부패를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것이다. 투명성 및 책임성은 부정부패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투명성은 부정부패를 식별하고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책임성은 부정부패에 연루된 사람들을 처벌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정부 운영을 좀 더 투명하게 만들고 공무원을 더 책임 있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사회의 투명성 및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예산.. 2023.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