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사회 진단 및 과제모색 - 과학도시 대전을 넘어, 미래를 향한 과제
1. 대전 지역 사회 진단 : 다양성 속의 갈등과 불균형 대전은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이 모여 살며, 풍성한 문화를 만들어내는 도시입니다. 영남, 호남, 충청 등 다양한 출신 배경을 가진 시민들이 함께 살아가며,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연구자와 전문직 종사자들이 밀집해 있는 반면, 전통적인 상업 지역에는 영세 소상공인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신도심과 원도심 간의 공간적 불균형은 도시의 또 다른 특징입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대전 사회를 풍요롭게 만들지만, 동시에 계층 간, 지역 간 갈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대전은 누가뭐래도 명실상부한 과학 도시입니다. 대덕특구에는 2023년 기준 2,914개의 입주 기관이 있으며, 이들 기업‧기관의 매출 규모는 26조 6천억 원으로..
2025. 3. 20.
민선8기 이장우 대전시정 평가, 전임시장 색깔지우려다 대전만의 색깔마저 지우고 있는 민선8기 1년
대전지역사회 진단 및 과제모색 1995년 지방자치가 부활된 이후 우리나라 지방자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지역내부의 민주주의는 지체 상태에 빠져있고, 주민들의 공적인 참여 또한 부진하고, 각종 부정부패나 예산낭비 사례는 끊이지 않으면서, 단체장과 대의기관 모두 주민들로부터 총체적 불신을 받고 있습니다. 대전은 ‘이질적인 도시’입니다. 출신지별(영남-호남-충청-기타), 계층별(연구단지와 비연구단지), 공간별(신도시와 원도심) 이질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도시입니다. 대전세종연구원의 대전격차연구(2017)에 따르면, 대전은 사회적, 계층적, 공간 양극화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의료 등의 시민의 삶의 질 관련 모든 지표에서 원도시와 신도시 간에 격차 문제가 심화되고 있..
2023.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