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지역민들 다수가 한우물 공동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대전·세종·충남·충북 지역민들의 주요 식수원은 대청댐이다. 어릴 적 기억 속에 우물은 마을공동체의 중심이었다. 한 우물을 먹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대전과 세종, 충남과 충북은 이웃이 아닌 백년지대계를 함께 만들고 살아가야 할 운명공동체나 다름없다.
경쟁 최소화하고 메가시티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한 이래 대전시와 세종시는 상생발전과 동반성장을 목표로 과학도시와 행정도시라는 두 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경쟁력 있는 상생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두 광역시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더 나아가 충청권의 상생협력을 위해 노력해왔다.
최근 대전·충남에 지역민들의 염원이었던 혁신도시가 지정됐다. 대전도시철도1호선을 세종과 충북 청주공항까지 연장하고 기존 호남선을 도시철도로 활용하는 정부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확정됐다. 또한 대덕특구에서 금남면을 관통하는 도로개설과 와동에서 신탄진동을 연결하는 도로개설을 포함하는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도 확정됐다. 충청권의 상생협력을 위한 기반조성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세종시로 인구가 이동하는 등 지역간 갈등요인이 발생하며 충청권의 상생협력에 걸림돌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충청권이 상생협력하고 발전하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 무엇보다 지속가능한 전략을 수립하고 상생협력의 가치를 지역민들이 우선적으로 공유하고 합의하는 것이 급선무다. 또한 충청권이 서로간의 경쟁과 출혈은 최소화하고 공동이익은 극대화하려는 발전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테면 충청권 지방정부가 보여주기식 행정이나 요란한 구호보다는 지역 주민들이 실감할 수 있는 상생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더 나아가 충청권의 상생협력이 인근 지역과의 시너지 효과로 이어져 지방분권·분산·균형발전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수도권에 대항할 수 있는 대전·세종·충남·충북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충청권 메가시티가 있다. 수도권의 거대화에 맞서 규모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대전·세종·충남·충북을 하나의 광역생활경제권으로 묶어 사회·경제·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상생협력 공동체를 만들자는 것이다. 충청권 메가시티가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막고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균형발전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다.
상생협력 플랫폼 지역으로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지역상생협력방안 모색 못지않게 지역정체성과 전통을 보전하고 형성하기 위한 노력 또한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 의식'이 넘쳐나는 상생협력 플랫폼 지역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를 아우르는 상생협력과 발전을 선도하는 모범지역이 되었으면 한다. 그러려면 도시공간이나 경제적 관점만의 상생협력이 아닌 지방분권·분산·균형발전의 담론과 지역갈등 해소라는 정치력의 발휘를 통해 충청권의 상생협력 가치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2021년 7월 19일 내일신문에 기고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