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도시 대전2 대전지역사회 진단 및 과제모색 - 과학도시 대전을 넘어, 미래를 향한 과제 1. 대전 지역 사회 진단 : 다양성 속의 갈등과 불균형 대전은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이 모여 살며, 풍성한 문화를 만들어내는 도시입니다. 영남, 호남, 충청 등 다양한 출신 배경을 가진 시민들이 함께 살아가며,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연구자와 전문직 종사자들이 밀집해 있는 반면, 전통적인 상업 지역에는 영세 소상공인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신도심과 원도심 간의 공간적 불균형은 도시의 또 다른 특징입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대전 사회를 풍요롭게 만들지만, 동시에 계층 간, 지역 간 갈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대전은 누가뭐래도 명실상부한 과학 도시입니다. 대덕특구에는 2023년 기준 2,914개의 입주 기관이 있으며, 이들 기업‧기관의 매출 규모는 26조 6천억 원으로.. 2025. 3. 20.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 계층 현황과 '대전특별자치시' 추진 개요 이러다, 도시(지역)명 뒤에 ‘특’ 자가 붙은 특별한(?) 도시와 지역만 남을 태세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강원특별자치도에 이어서 최근에 대전광역시 등에서 특별자치시를 만들기 위한 모색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대전광역시가 대전특별자치시로 변경된다면, 전국 6개 광역시 가운데 첫 특별자치시로 지위가 변경됩니다. 문제는 기존에 이미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이외에도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4개의 특례시가 있으며, 몇 개의 광역시도가 통합하는 특별광역 및 특별연합시 추진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다가는 앞으로 전국의 17개 광역시도 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도 도시(지역)명 뒤에 ‘특’‘특’ 자가 붙은 특별한(?) 도시와 지역만 남을 태세입니다.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계층 현황 우리나라를 포함 전 세계.. 2023. 8.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