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2,400억 원의 지방채 발행까지 하면서, 2024년도 예산에 단체근무복 제작을 위한 개발비 5천만 원을 편성해 지난해 논란이 된 바 있었습니다.
대전시의 단체근무복 제작에 대해 같은 당 소속 시의원도 비판할 만큼, 각계의 비판이 컸었는데, 대전시는 계획대로 단체근무복 제작을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단체근무복 제작을 위해서는 최소한 수억 원(2,800명(2,800명 * 20만 원 = 5억 6천만 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대전시가 재정난을 이유로 영육아 양육수당도 절반으로 깎은 상황에서 공무원들 단체근무복 제작이 그렇게 중요하고 시급한지 되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비판을 의식했는지,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난 6일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직원들이 일할 때 불편하지 않도록 근무복을 제작하려 했던 것"이라고 그 배경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대전시청 공무원들의 생각은 많이 다른가 봅니다. 출퇴근은 자유복으로 하고 사무실에서는 단체근무복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아무리 단체근무복 착용이 의무는 아니라 하더라도, 공무원들의 불편은 불가피하다는 아우성입니다.
실제로 과거 박성효 시장 재임 시절이었던 2007년 10월 근무복으로 초록색 점퍼를 만들어 본청의 모든 직원과 의회, 산하 사업소 등의 공무원들에게 지급했으나, 점점 입는 직원이 줄더니 시장 임기가 끝나자 3년 만에 근무복도 자취를 감춘 사례가 있습니다.
특히 공무원들의 경우 MZ세대를 중심으로 명찰을 차는 것조차도 거부감이 큰데, 일률적인 단체근무복을 근무 중에 입으라고 하는 것에 대해 매우 불편해한다는 반응입니다.
이장우 대전시장의 말처럼, ‘직원들 불편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불편할 것 같다’는 반응이 필자가 만나본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보인 반응이었습니다.
이 시장은 이런 공무원들의 반발을 의식했는지, "직원들에게 (단체복을) 의무적으로 입으라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노조위원장도 이 사안에 반대하지 않았다"라고 부연 설명까지 했는데, 의무착용도 아닌 단체근무복을 왜 수억 원의 시민혈세를 들여서 제작해야 하는지도 의문입니다.
지금이 권위주의적 시절도 아니고 다 큰 성인 공무원들에게 단체근무복을 입히면서, 직원들 불편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라는 시장의 발언에 대해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단체근무복을 착용하면, 공무원들의 대전광역시청 소속감과 책임의식, 업무 효율성이 오른다는 대전시의 주장에 대해서도, 최소한의 인과관계, 상관관계는 설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