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사회 현안 모음

상생을 위한 첫단추, 대전산내학살 사건 진상규명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7. 1. 27.
반응형



1950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던 날이다.

많은 이들이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인민군에 의해 자행된 대전형무소 우물학살 사건은 기억하고 있으나, 한국전쟁 직후에 군인과 경찰에 의해 자행된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해 기억하는 이는 그렇게 많지 않다.

대전산내학살 사건은 한국전쟁 직후였던 1950년 7월 2일부터 7월 중순경까지 대전형무소 재소자를 중심으로 대전산내 골령골에서 자행된 군인과 경찰에 의해 자행된 학살사건을 일컫는다.

미국립문서보관소에서 비밀문서(2급)로 분류돼오다 1999년 12월 16일 비밀해제된 문서에는 '처형명령은 의심할 바 없이 최상부(최고위층)로부터 내려진 것..'이라고 적고 있다.

학살규모만도 적게는 1천8백명에서 많게는 7천여명에 이를 정도로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규모로는 최대를 자랑(?) 한다.

학살이 자행된지 56주년이 되는 아직까지도 유족들은 왜 아버지가, 어머니가, 형이 산내 골령골에서 억울하게 총 맞아 죽어갔다’는 사실을 말하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당시 대전형무소 수형인 명부나 민간인 학살규모, 학살명령 체계가 속시원히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과거사법이 지난해 5월 국회를 통과하였다. 과거사법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희생사건을 포함, 국가폭력에 희생된 각종 인권침해 사례의 진상을 밝히고자 제정되었던 만큼, 대전산내학살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많은 유족들은 기대에 차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잇달아 드러나는 대전산내학살 사건 당시의 참혹한 실상들에 대한 동구청 등 해당 행정기관이나 정부의 태도는 매우 불성실하다.

그동안 여섯차례에 걸쳐 대전산내학살 희생자 위령제가 유족 및 시민사회단체의 도움으로 치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동구청이나 대전시의 지원은 커녕, 위령제 행사에 참석조차 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국가 권력에 의한 억울한 죽음에 대해 침묵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또 하나의 죄악이다. 당시 비극적인 상황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밝혀 내는 일이 상처를 아물게 하고 상생과 화해의 수순임을 행정기관이 모르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여수․순천 반란사건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의 위령제에 유족대표가 참석하여 서로를 격려하고 추모하고 있음의 의미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받아온 고통과 소외의 세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기초를 놓고 내 후손들에게 정의로운 세상을 물려주는 값진 거름이 될 수 있도록 대전산내학살 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노력에 행정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간곡히 호소한다.

반응형